고양이복수 배가 빵빵하게 불렀다면 복막염일 수도 있어

고양이복수 배가 빵빵하게 불렀다면 복막염일 수도 있어

고양이복수 배가 빵빵하게 불렀다면 복막염일 수도 있어

자는자세로 알 수 있는 고양이 건강 상태

고양이 복수 찼을 경우, 대부분 복막염일 가능성이 높아요.

고양이 복막염은 치사율이 100% 일 정도로 고양이에게 치명적입니다.

만약 고양이 복수가 찼다면, 폐와 심장을 눌러 호흡곤란이나 쇼크사할 수 있어 곧바로 동물 병원에 가야 합니다.

고양이 복수는 고양이 복부 내에 비정상적으로 많은 양의 체액이 쌓이는 걸 말합니다.

본래 고양이 복막(복부의 얇은 근육)엔 위나 장, 간 등 중요 장기가 모여있고 외부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복수가 어느 정도 차 있다고 합니다.

만약 고양이가 질병으로 복수가 비정상적으로 쌓이면, 임신한 것처럼 배가 부풀어 오르고 폐나 심장을 압박해 호흡곤란 증세를 보일 수도 있습니다.

복수는 천천히 차오르기도 하고, 갑자기 커지기도 해요. 복수가 찼을 때 그 물의 무게만큼 몸무게가 일시적으로 증가합니다.

그리고 복부로 체액이 몰려 탈수되는 경우도 있어 소변 양이 급격하게 줄어들어요.

복부의 체액 때문에 복압이 높아져 배꼽이나 대퇴부 탈장이 발생하고, 수컷 고양이의 경우 고환이 붓기도 합니다.

이 외에도 고양이가 기생충에 감염되거나 악성 종양, 자가면역 질환 등 여러 질병의 증상으로 복수가 찰 수 있습니다.

고양이 복수가 차는 원인 중 대부분은 복막염인 경우가 많아요.

특히, 습식 복막염의 경우 눈에 띄게 복수가 차고 2~3개월 내에 사망할 정도로 치사율이 높다고 합니다.

고양이 코로나바이러스는 집고양이의 25%, 길고양이의 70% 정도가 감염될 정도로 흔한 데다 자연치유되는 경우가 많아요.

하지만 고양이 복막염은 고양이 체내에서 코로나바이러스 변이가 일어나 감염된다고 합니다.

아직 코로나바이러스가 변이되는 정확한 원인이 밝혀진 건 아니지만, 스트레스나 면역력이 약할 때 변이될 확률이 높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고양이 복막염의 경우, 복수가 차고 전반적인 컨디션이 떨어져 무기력해져요.

만약 고양이가 밥을 먹지 않고, 평소보다 배가 빵빵해 보인다면 동물 병원에 곧바로 가서 검사 받아야 합니다.

고양이 간은 다양한 역할을 해요. 간에서 담즙을 생성해 고양이가 먹은 음식을 소화하는 걸 도와주고, 체내 독소나 콜레스테롤을 분해합니다.

특히, 간에서 알부민을 생성하는데, 혈관 내 체액 양과 체내 수분을 조절하는 단백질의 일종입니다.

만약 고양이 간에 세균 감염이 일어나 기능이 떨어지면, 알부민을 제대로 생성하지 못하게 돼요.

혈중 단백질 수치가 떨어지는 저단백혈증과 함께 혈관 내 수분이 복부로 몰려 복수가 찬다고 합니다.

그리고 고양이 간과 췌장, 십이지장의 위치가 가까운 데다 서로 영향을 많이 미쳐요.

세동이염 혹은 삼분기염(Triaditis)으로 불릴 정도로 간-췌장-십이지장에 염증 조직이 퍼지기 쉽습니다.

간에 염증이 생겼다면, 췌장과 십이지장 외에도 뇌, 신장 등에 퍼져 폐부종, 심장병, 저혈압, 신부전까지 이어질 수 있습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